본문 바로가기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tour리스트 2025. 7. 30.
728x90
반응형

23조 계약, 파운드리 판도 바꾸나?

올해 여름, 반도체 업계에 꽤나 묵직한 소식이 터졌습니다.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차세대 AI 칩 생산 계약을 따냈다는 건데요, 규모가 무려 23조 원!
그동안 파운드리 시장에서 1위 TSMC에 밀려 고전하던 삼성에게는 말 그대로 ‘막힌 혈이 뚫린’ 사건이었구요.
게다가 이번에 적용되는 건 2나노 GAA 공정이라, 단순한 계약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주가도 모처럼 7만 원 선을 돌파하면서, ‘8만전자’ 복귀에 대한 기대감이 솔솔 피어나고 있습니다.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테슬라와 삼성, 서로 필요한 이유

작년까지만 해도 “삼성 파운드리? 아직 멀었지”라는 시각이 많았어요.
3나노 수율 부진에 대형 고객사 확보에도 실패했으니까요.
그런데 이번 테슬라 계약은 얘기가 다릅니다.
일론 머스크가 원하는 건 완전자율주행(AI6) 칩의 안정적인 대량 생산,
삼성은 미국 텍사스 테일러 공장에서 현지 생산 가능,
거기에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관세 정책까지 피해갈 수 있으니 서로 윈-윈이 된 거죠.

숫자만 보면 놀라운 계약 규모

22조 7,600억 원.
이건 삼성전자의 작년 매출의 7.6%를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그리고 계약 기간은 무려 8년.
업계에선 이 계약 하나로만도 삼성 파운드리 매출이 연 10% 늘어날 거라고 하네요.
심지어 머스크는 “이건 최소치”라고 말했으니, 추가 계약 가능성도 꽤 높아 보입니다.

2나노 GAA, 진짜 판세를 뒤집을 카드일까?

파운드리 경쟁은 사실 ‘수율 싸움’입니다.
삼성은 3나노에서 GAA를 먼저 도입했지만, 수율이 50~60% 수준이라 
TSMC(90~90%)에 완패했죠.
이번 2나노 GAA에서 테슬라 계약을 따냈다는 건, 그 수율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됐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만약 여기서 안정적인 수율과 대형 고객 확보까지 성공한다면,
TSMC의 대안 파운드리로 자리 잡을 수도 있겠죠.

주가, 8만전자까지 가능할까?

이번 계약 발표 이후 주가는 바로 반응했습니다.
11개월 만에 7만 원 돌파.
키움, 대신, 유진 등 주요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8만 4천 원까지 올렸습니다.
게다가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해소, 재고 충당금 반영 등 호재가 겹치면서
‘이제는 올라갈 일만 남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됐어요.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앞으로의 변수는?

물론 낙관만 할 수는 없습니다.
삼성이 인텔처럼 파운드리 사업 부진으로 무너졌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이번 테슬라 계약을 계기로 다른 빅테크 고객도 확보해야 합니다.
그리고 HBM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가 앞서 있으니, 그 경쟁도 만만치 않구요.
결국 8만전자 가능성은 ‘수율 안정 + 고객 다변화 + 기술 완성도’ 세 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될 때 열릴 겁니다.


1. 삼성과 테슬라, 전격 동맹의 의미

이번 계약은 단순히 반도체 생산을 넘어선 전략적 동맹에 가깝습니다.
테슬라는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확보했고, 삼성은 글로벌 빅테크 고객을 얻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반도체 관세 정책을 고려하면,
미국 텍사스 테일러 공장에서 생산하는 건 매우 큰 장점이죠.

2. 테일러 공장, 이제야 진가 발휘

삼성이 2021년부터 투자한 테일러 공장은 그동안 ‘빈 껍데기’라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계약으로 완전 반전!
미국 현지 생산 + 대규모 납품 조건을 충족시키며 테슬라의 선택을 받은 겁니다.
이제 이 공장은 삼성 파운드리의 글로벌 거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3. 2나노 GAA, 게임 체인저 가능성

GAA 기술은 기존 핀펫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공정입니다.
트랜지스터 채널을 360도 감싸 전류 제어가 정밀해지고, 전력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삼성이 이 기술을 2나노에서 완성도 높게 구현한다면,
TSMC를 위협할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4. 수율 안정이 관건

3나노에서 실패한 이유는 결국 수율이었죠.
50~60% 수율로는 대형 고객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이번 테슬라 계약이 의미 있는 건, 2나노 GAA에서 그 수율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다른 고객사들도 이 수준을 인정할지가 관건입니다.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5. 주가 전망, 기대감은 충분

23조 원 규모 계약이라는 파급력 덕분에 주가가 7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증권사들도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했고요.
만약 연내 추가 계약 소식이 나온다면 ‘8만전자’ 복귀는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6. 남은 과제

HBM 시장 점유율 확대, 고객 다변화, 기술 신뢰 회복.
이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만 삼성전자가 진정한 반등을 이룰 수 있습니다.
테슬라 계약은 시작일 뿐, 앞으로가 더 중요합니다.


💬 테슬라가 TSMC 대신 삼성을 택한 이유는?

미국 내 생산 가능성과 2나노 GAA 기술 경쟁력, 그리고 대량 납품 역량이 결정적이었습니다.

💬 8만전자까지 가능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수율 안정, 고객 다변화, HBM 경쟁력 강화가 필수 조건입니다.

💬 테슬라 계약이 향후 파운드리 판도를 바꿀까?

TSMC의 대안 파운드리로 부상할 수 있는 기회이지만, 안정적인 품질 유지가 전제돼야 합니다.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테슬라와 손잡은 삼성전자 '8만전자'로 달릴까?


삼성전자의 이번 테슬라 계약은 반도체 시장 판도 변화의 신호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불꽃이 얼마나 오래 타오를지는,
삼성이 기술 완성도와 고객 신뢰를 얼마나 꾸준히 유지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저는 이번 계약이 단발적인 뉴스로 끝나지 않고,
삼성 파운드리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있구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 테슬라 계약이 ‘8만전자’로 가는 티켓이 될 수 있을까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

댓글